목록퍼블리싱 (17)
킥복싱의 각종 자료실
현재는 하이브리드앱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정말 오랜만에 3시간정도 머리를 굴렸던것 같다. 문제는 iphone x 이상부터 나오는 safe area 때문인데, 고객이 상단 safe area도 화면과 연결되어 거부감이없는 느낌을 받고 싶다고 한다. 그래서 먼저 env와 constant를 사용해서 잡으려고 하였으나, 무슨 연유인지 잡히질 않아서, 고민을 하게됐다. 이유를 찾아서 적용해야 하지만, 앱단에서 safe area를 해제 해 줄수 있따는 말을 하기에, 그렇다면 '내가 더편하지' 하고 그렇게 해달라고 했다. 순간 알고리즘이 떠올랐고 적용할수 있을것이라 판단하여, 그렇게 진행했다. 방법은 일단 네이티브에서 safe area를 해제 한다. 그리고 난 일반 fixed 헤더를 내비둔 상태에서 iPhone X ..
간단하게 만들수 있는 로딩바 소스를 올리려고 한다. 원리는 간단하다. 로딩 프로그레스를 구현하고 싶은 모양이 동그랗게 돌기를 원한다면, 먼저 동그랗게 도는것 같은 이미지를 하나 구해온다. 그리고 구조를 이렇게 잡는다. html은 이게 전부 이다. wrap에 붙이던 컨텐츠의 제일 끝 자식 요소에 붙이던 상관없다. 원하는 위치에 붙이면 된다. body 안에 css는 .loading {position:relative; z-index:1000} .loading .dim {position:fixed; left:0; top:0; z-index:950; width:100%; height:100%; background:/* dim 처리를 하고싶다면, colour 값을 넣고, 오퍼시티를 주면 된다. */} .loadin..
스택오버플로에서 장시간 검색했다. 논의된 내용은 자그마치 8년간 의견이 왔다갔다 한걸 확인했다. 제목처럼 iOS safari 에서 인풋을 클릭할 때에 줌인 되는 현상에 대해서 글을 적고자 한다. 먼저 이것이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 이 현상은 iOS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이며, 유저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iOS의 대책이라고 할수 있다 . 해당 인풋요소의 font-size가 16px 미만 일 경우, 자동으로 줌인 되게 되어있다 . 이는 사용자의 가독성을 위해 적용된 것으로, 이것을 시스템적으로 방지 할 방법은 없다. 제일 좋은 것은 모바일에서 font-size 16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모바일에서 코딱지만한 글씨로 봐서는 뭐 아무것도 안보이는데, 요즘 트렌드 또한 크게크게 ..
attributes: NamedNodeMap baseURI: "file:///C:/Test.html" childElementCount: 0 childNodes: NodeList[1] children: HTMLCollection[0] classList: DOMTokenList className: "" clientHeight: 36 clientLeft: 1 clientTop: 1 clientWidth: 1443 contentEditable: "inherit" dataset: DOMStringMap dir: "" draggable: false firstChild: Text firstElementChild: null hidden: false id: "" innerHTML: "click" innerText: "c..